고령환자, 치아 없어 음식 잘 못 씹으면... 의외의 결과

입력 2022.09.30 16:02수정 2022.09.30 16:47
고령환자, 치아 없어 음식 잘 못 씹으면... 의외의 결과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차재국·박진영·고경아 교수 연구팀(세브란스 제공)


(서울=뉴스1) 권영미 기자 = 고령 환자가 음식을 잘 씹지 못하면 치매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차재국·박진영·고경아 교수 연구팀은 60세 이상 고령 환자가 발치 뒤 임플란트 등의 치아 복구조치를 취하지 않고 빈 곳을 방치해 씹는 능력이 떨어지면 치매 발생 위험이 커진다고 30일 밝혔다.

그간 음식물을 씹는 저작능력이 저하되면 학습 능력과 기억력이 줄어들 수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다. 음식물이 잘게 쪼개지지 않아 영양소가 체내에 잘 흡수되지 못하고, 잇몸 등으로 들어간 음식물이 썩어 만성 치주염 등을 일으켜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치아 상실과 치매 발병의 상관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는데 연구팀이 이번 연구로 상관관계를 밝혀냈다.

연구팀은 2014년부터 2020년 중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에서 진료받은 이력이 있는 60세 이상의 환자 488명(치매군 122명, 대조군 366명)을 대상으로 치아 상실과 치매 발생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조사 대상 488명은 2005년부터 2010년 사이 처음 내원했다가 다시 병원을 찾은 환자들로 초진 당시에 치매를 앓던 환자는 없었다.

연구팀은 두 시험 군의 저작능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소실 치아 개수와 치아 복구조치 비율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치매군에서 감소한 평균 치아 개수는 6.25개로 대조군(4.53개)보다 더 많았다.

발치 뒤 복구하지 않고 치아의 빈 곳을 그대로 방치한 비율도 치매군에서 높았다. 치매군에서의 소실 치아 방치 비율은 56.48%였으나 대조군에서는 42.6%였다.
치매가 발병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발치 등으로 치아를 잃으면 임플란트·보철 치료로 빈 곳을 메워 저작능력을 보존한 경우가 77.48%로 치매군(66.56%)보다 더 많았다.

차재국 교수는 “노화에 따라 자연 소실, 발치 등으로 치아를 잃기 쉽지만 그대로 방치하면 음식을 잘 씹지 못하게 된다”며 “이번 연구는 치아 상실과 치매 발병 상관관계를 밝힌 것으로, 임플란트와 보철 치료로 저작능력을 유지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중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발간하는 종합의학학술지 '연세의학저널'(YMJ) 최신 호에 실렸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