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관세 50% 추가해 최대 104% 관세 경고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 시간) 자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내일까지 중국이 34%의 관세 인상을 철회하지 않는다면 미국은 50%의 대중국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캐나다·멕시코와 함께 중국을 자국발 관세 폭탄의 최우선 표적으로 삼았다. 그는 중국에 10%씩 두 번, 총 20%의 관세를 매긴 데 이어 지난 2일에는 34%의 상호 관세를 추가했다.
이에 중국도 지난 4일 34%의 대미 동률 관세로 맞섰다. 당시 발표에는 희토류 수출통제, 미국 방산기업 제재 등 부가 조치도 수반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34% 관세 철회 요구는 해당 대응을 겨냥한 것이다.
기존 54% 관세에 실제 50% 관세가 추가되면 미국의 대중국 관세율은 도합 104%에 이르게 된다. 중국 상무부는 이런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 관세 압박에 "끝까지 상대해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中 보복 이미 상당 수준…美안보 노린 희토류 조치도
중국의 보복 조치도 이미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
지난 2월1일 트럼프 대통령이 10%의 관세를 매겼을 때만 해도 중국의 대응은 제한적인 수준에 그쳤다. 미국산 원유·석탄·액화천연가스 등에 10~1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것이다.
그러나 3월4일 트럼프 대통령이 10% 관세를 추가하자 중국도 즉각 대응을 더했다. 미국산 가금류, 밀, 대두 등에 10~15%의 관세를 매겼는데, 미국 고용 시장의 10%를 차지하는 농산물 분야를 정밀 조준했다는 분석이다.

◆트럼프·시진핑, 양보 없는 자존심 싸움…상호 타격 불가피
문제는 양측 모두 물러설 명분이 없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대선 기간 더 강해진 미국 우선주의 슬로건을 내세워 지지층을 결집했다. 미국 내 제조업 회복과 무역 관계에서의 자국 이익 수호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체성에 해당한다.
중국의 사정도 비슷하다. 장기 성장 둔화 우려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대미 양보는 시진핑 주석의 리더십과 직결된다. 또 미국이 근본적으로 시정을 요구하는 보조금 등 정책은 중국의 경제 체제와 직결되는 문제다.
브레이크 없는 치킨게임은 일단 양국 모두에 실질적인 피해를 줄 전망이다. 미국에서는 당장 상호관세 발표 이후 3대 주가 지수가 연일 최악의 하락세를 겪었고, 소비자 물가 상승 우려도 커지고 있다.
특히 고용시장 냉각 등 미국 내 경기침체 우려가 나오는 상황에서,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심화할 경우 코로나19 팬데믹 시기를 뛰어넘는 충격파가 있을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JP모건 수석이코노미스트인 마이클 페롤리는 이와 관련, 액시오스에 "향후 몇 달 동안 고물가로 인한 고통은 과거 팬데믹 인플레이션 때보다 힘들 수 있다"라고 전했다.
중국도 직격탄을 피할 수 없다. 연간 4000억 달러(약 588조8800억 원) 이상의 상품을 미국에 판매해 온 중국은 당장 관세 영향을 직접 받는다. 여기에 베트남 등 제3국 우회 수출도 이제는 관세를 피하지 못하게 됐다.

◆'6월 정상회담설' 불확실성 고조…2018년처럼 일시 타협 가능성도
미중 무역전쟁의 장단기적 여파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한때 오는 6월로 거론됐던 양국 정상회담에도 불확실성이 커지는 모습이다.
양측이 양보 없는 강 대 강 대치를 이어가며 회담의 시기와 장소는 물론 잠정적인 합의안 마련에도 난항이 예상된다. 양 정상 모두 체면을 구기지 않으면서 실익을 챙기기 위한 계산법이 한층 복잡해지는 것이다.
그러나 무역 전쟁의 충격파가 수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커지면 오히려 양 정상이 더욱 적극적으로 만남을 모색할 가능성도 있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 6월 출생인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오는 6월 이른바 '생일 정상회담'을 논의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시 주석이 "그리 멀지 않은 미래"에 미국을 방문해 양국 간 경제 문제 등을 논의할 수 있다고 언급했었다.
☞공감언론 뉴시스 imzero@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