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안은재 기자 = 배우 정우성이 영화 '서울의 봄'으로 '천만배우'가 된 소감을 밝혔다.
정우성은 지난해 영화 '보호자'(극본 정해신/연출 정우성)로 첫 장편 영화 연출 부터 '서울의 봄'(극본 및 연출 김성수) 촬영, '고요의 바다' (극본 박은교/연출 최항용)제작과 지니TV 오리지널 드라마 '사랑한다고 말해줘'(극본 김민정/연출 김윤진) 촬영까지 바쁜 일정을 보냈다. 그 결과 '서울의 봄'으로는 '천만배우'라는 타이틀을 얻었으며, '사랑한다고 말해줘'로는 '멜로 장인'의 복귀를 알렸다. 영화 '보호자'는 유의미한 성적을 기록하지는 못했지만, 첫 장편 영화 연출이라는 점에서 배우가 아닌 연출자로서 의미를 남겼다.
정우성은 지난해 11월22일 개봉한 영화 '서울의 봄'으로 첫 '천만영화'를 달성했다.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12일 서울 군사반란이 발생하는 그 날을 배경으로 한 영화로, 최근 1200만 누적관객수를 돌파하며 2023년 최고 흥행작으로 떠올랐다. 정우성은 극 중에서 수도경비사령관 이태신 역을 맡았다. 그는 배우 황정민과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한 영화를 현실감있게 표현하며 관객들에게 진한 울림을 선사했다.
또한 '사랑한다고 말해줘'로 11년 만에 '멜로 장인'의 모습을 입증했다. '사랑한다고 말해줘'는 손으로 말하는 화가 차진우(정우성 분)와 마음으로 듣는 배우 정모은(신현빈 분)의 사랑 이야기로 짙은 감성의 멜로 드라마다. 그는 극 중에서 청각장애를 가진 화가 차진우로 분해 먹먹한 사랑의 감정을 수어 연기와 얼굴 표정으로만 표현해 호평을 받았다.
정우성은 지난 16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취재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N인터뷰】①에 이어>
-최근 숏폼 콘텐츠가 유행이다. 짧은 시간 안에 자극적인 내용의 콘텐츠가 사람들의 시선을 끌고 있는데 그런 상황 속에서 긴 호흡의 멜로 드라마 '사랑한다고 말해줘'를 한 특별한 이유가 있나.
▶글쎄, 숏폼에 대해 반감을 가지고 '순수 감정을 가지고 관계를 이야기하는 멜로드라마가 필요해' 하는 사명감으로 드라마를 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예전부터 왜 다 신데렐라 콤플렉스만을 이용한, 대중심리에 얹혀서 팀장님, 회장님의 아들 소재가 많을까 생각하기는 했다. 천편일률적인 멜로, 사랑 이야기는 팀장님의 전유물인가 하는 생각이 예전에 있었다. 일상에 관계가 가지는 소중함을 느끼게 하는 것은 많다. 건널목 앞에서 차를 세웠는데 중년 커플이 신호등에서 손을 꽉 잡고 있는데 그 손에서 절대 신뢰와 삶을 지탱하는 게 느껴졌다. 뭉클한 아름다움이 느껴졌다.
'사랑한다고 말해줘'를 선택한 이유는,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내뱉는 소리들이 온라인에 너무 많다. 소통이 아닌 소통이다. 사회에서도 배우를 수식하는 단어들이 최고를 넘어선 무언가를 지향하고 있다. 그 가치는 어디에서 나오는 것이지 생각했다. 소리가 너무 많다고 생각했다. 소리없는 소통, 고요함 속에 큰 울림을 느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선택했다.
-본인이 생각하는 사랑이란.
▶정말 어렵다. 뭔지 모르겠다. 규정할 수는 없다. 나이대마다 느끼는 사랑의 달콤함이 다른데 늘 서툴다. 지금도 사랑에 항상 서툰 것 같다. 인간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
-영화 '서울의 봄'으로 천만 배우가 된 소감은.
▶감사하다, '데뷔 30년 만에 천만배우'라는 로그라인이 재밌다, 그러면서 같이 응원도 해주셨는데 감사했다. 천만영화는 관객들이 만들어준 것이다, 시대에서 결핍된 정서를 찾고자 하는 욕구를 채워주면 영화가 큰 인기를 얻는데 '서울의 봄'에서 그런 것들을 찾으신 것 같다. '역시나 우리가 영화를 잘 만들어서 됐어' '할 줄 알았어' 라는 생각이 들지도 않았다, 타이밍이 잘 맞은 행운이었던 것 같다.
-무대인사를 230회 넘게 했다. 그 이유는.
▶영화배우는 극장에서 관객을 만나는 게 최종 목적이다, 관객이 무대인사를 허락하는 상황을 만들어주니 계속 할 수 있었다. 저에게 (무대인사는) 당연한 과정 속에서 만들어진 상황이었다.
-쉴 때 무엇을 하고 쉬나.
▶쉬는 시간은 다음 작품에 대한 결정과 고민,회의로 이뤄졌다. '보호자' 촬영부터 촬영이 끝나고 후반 작업 하면서 '고요의 바다' 제작 들어가서 현장에 있다가 중간에 드라마 잠깐 하고 '헌트' 하고 '헌트' 촬영하면서 '고요의 바다' 후반작업 보고 '헌트' 개봉하고 '서울의 봄' 촬영 들어가고 '서울의 봄' 촬영 하면서 계속 '사랑한다고 말해줘' 준비하고, 이어달리기를 하다보니 '사랑한다고 말해줘' 촬영 끝나고 쉴때가 됐다고 생각이 들었다.
-데뷔 30년이 됐고 현재 영향력이 커진 한국 영화와 함께하기도 했다. 배우들의 해외 활동이나 커진 한류 영향력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나.
▶아무 생각이 들지는 않는다. 한국 영화에 대해서 해외에서 인정을 하는데, 초기부터 이런 것은 체감해서 여태까지 온 사람이다. 한국 내에 영화와 관련된, 드라마와 관련된 업을 하는 사람들이 바람직한 고민을 하고 있나. 물질적인 이익만 추구해서 뻔한 장르의 재생산만을 하지 않나 생각한다.
<【N인터뷰】③에 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