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촌에서 단독 전국투어까지…송하빈의 코미디 인생 ②

입력 2025.03.31 08:01수정 2025.03.31 08:01
민속촌에서 단독 전국투어까지…송하빈의 코미디 인생 [N인터뷰]②
코미디언 송하빈/ 사진제공=메타코미디


민속촌에서 단독 전국투어까지…송하빈의 코미디 인생 [N인터뷰]②
코미디언 송하빈/ 사진제공=메타코미디


(서울=뉴스1) 안태현 기자 = 스탠드업 코미디언 송하빈(31)이 단독으로 스탠드업 코미디 전국투어를 연다. 그간 다양한 스탠드업 코미디와 유튜브 '언더월드' 채널 속에서 고양이들과의 유쾌한 코미디를 선보여왔던 송하빈은 이번 스탠드업 코미디 전국투어 '파이팅'에서 마이크 하나와 오로지 농담을 가지고 다수의 관객들에게 웃음을 선사할 예정이다.

공연은 5월 10일 대전 서구문화원을 시작으로, 11일 광주, 17일 부산, 18일 대구, 24일 서울로 이어지며 많은 관객들을 만난다. 특히 '언더월드' 속 고양이 춘봉, 첨지와 함께하는 유쾌한 일상에서 탄생한 농담부터 반전 매력 넘치는 섹시하고 발칙한 농담까지 선보인다고 해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난 2016년 한국민속촌 '벨튀' 아르바이트생으로 코미디 경력을 시작한 송하빈은 '민속촌' 공채 3기라고 해도 무방하다. 이후 그는 민속촌 출신 멤버들과 만든 유튜브 채널 '촌놈들'을 비롯해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수영강사 하빈샘' '정치인 송재갑' 등의 부캐로 활약하면서 많은 인지도를 쌓았다.

그러던 중 지난해 아내, 그리고 고양이와 함께한 '언더월드'로 큰 사랑을 받게 되면서 스탠드업 코미디언으로서 또 새로운 지점에 도달하게 된 송하빈. 전국 투어와 당장 매주 공연장에서 선보일 농담 구상에 분주한 그를 뉴스1이 만났다.

<【N인터뷰】 ①에 이어>

-대세 스탠드업 코미디언 중 한 명인데, 어떻게 코미디언의 꿈을 꾸게 됐나.

▶제가 대학교 1학년까지 축구선수를 하다가 그만두고 군대에 갔다. 군대에서 '앞으로 뭘 해볼까' 고민하다가 코미디를 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2016년에 한국민속촌에서 연기자들을 뽑기 시작했는데, 그때 생각한 건 '내가 민속촌에 붙으면 개그맨을 하고 아니면 안 되겠다'고 생각헀다. 그러다 한국민속촌 연기자에 붙었고, 그 활동을 하면서 '개그콘서트' 공채도 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한동안 공채 개그맨 공지가 없어서 기다리던 중에 유병재 씨의 스탠드업 공연을 보게 되면서 흥미를 가지게 됐다. 그때 홍대에서는 '피식대학' 형들이 공연을 하고 있어서 봤는데 '어떻게 하면 이들과 같이 할 수 있을까' 싶었다. 이때 '피식대학' 형들이 아마추어를 위한 오픈마이크 무대를 한다고 하더라. 대신 무대에 오르려면 지인을 데리고 와야 한다고 했는데 매주 지인을 데려가면서 무대에 올라갔던 게 시작이었다.

-한국민속촌에서 활동할 때도 '벨튀 체대생'으로 유튜브에서 화제를 모았지 않나.

▶인기는 '벨튀 체대생'으로 쌓았다. 그리고 민속촌에서 함께 하던 사람들과 '촌놈들' 유튜브도 하고는 했다. 그래서 초창기에는 사람들이 스탠드업 코미디언보다는 유튜버로 많이 알고 계시더라.

-다른 코미디도 많았는데, 스탠드업 코미디에는 어떤 매력을 느낀 건가.

▶제가 맨 처음 느낀 매력은 혼자 올라가는 것이기 때문이었다. 망해도 혼자 망하는 거고, 잘하면 그 몫을 혼자 가져가는 게 매력적이었다. 소품과 분장이 없이 마이크 하나만으로 웃긴다는 것도 매력이었다.

-초창기 스탠드업 코미디 신은 지금과 같이 많은 주목을 받지 못했는데, 그럼에도 스탠드업 코미디를 꾸준히 지켜왔던 이유는 무엇이었나.

▶저희 신에 있는 사람들이 똑같이 느끼는 것 같다. 어느새 8년이 됐는데 정말 5년간은 돈을 못 벌면서 공연을 했다. 티켓값도 못 벌 정도로 관객도 없어서 돈이 없었다. 그래도 이 신이 언젠가는 잘될 거라는 확신이 있었다. 오전에는 일하면서 생계를 유지하고, 코미디언들끼리 서로의 조크를 봐주면서 지내왔다.

-스탠드업 코미디는 미국적인 문화이기 때문에 이를 한국의 정서 속에 녹여내기 위해 어떻게 고민하고 있나.

▶코미디언마다 다르다. 미국식 그대로 가자고 하는 사람도 있고 어떤 사람은 한국적인 걸 반영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한다. 저 같은 경우에는 한국적이거나 미국적인 것보다는 좀 더 불편하지 않게 스탠드업 코미디를 하려고 한다. 단순히 수위가 센 것보다는 클린한 코미디를 많이 하려고 하고 있다.

-스탠드업 코미디를 하다 보면 정치 풍자적인 발언도 많은데, 이에 대해 다소 불편해하는 시선도 있는 것에 대해 아쉬움이 있지는 않나.

▶불편의 시대이다 보니 아쉬운 게 있다. 저도 조크를 짜면서 '이게 괜찮나? 이해할 수 있나? 받아들일 수 있나?'라는 생각을 자주 하는 편이다. 그래서 제 속으로 최고 수위가 10이라고 하면 2와 3 정도로 가져가면서 조금씩 수위를 올려보고 있다. 단순히 '받아들이세요'라고 하기에는 위험요소가 있다.

-그렇다면 앞으로 어떤 코미디언이 되고 싶다는 목표도 있나.

▶벌써 유튜브 구독자도 124만이 됐는데 공연도 하는 코미디언으로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모두 다 잘하는 코미디언이 되고 싶다.
방송도 하고, 공연도 하고, 유튜브도 하는 코미디언이 많지는 않다. 하지만 셋 다 매력이 있어서 재밌다. 온라인이나 미디어에서 보고 실제로 공연을 보러왔을 때도 잘한다는 인식을 주고 싶다.

이 시간 클릭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