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안태현 기자 = 5개 대중음악단체들이 기획사와 가수 간의 전속계약 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냈다.
2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신반포로에 위치한 JW메리어트호텔 서울에서는 5개 대중음악단체가 '약속을 지켜주세요(Let’s keep a promise): 음반제작자가 없다면 K팝도 없다'를 주제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은 한국매니지먼트연합, 한국연예제작자협회,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한국음반산업협회, 한국음악콘텐츠협회 등 5개 대중음악단체가 주최해 뉴진스와 소속사 어도어의 분쟁 및 민희진 전 어도어 대표와 하이브의 분쟁, K팝 산업의 탬퍼링 방지법안 마련 등에 대한 주제를 다뤘다.
이날 최광호 한국음악콘텐츠협회 사무총장은 "대중음악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방향에 대해 얘기해 보고자 한다"라며 "산업 내 약속이 지켜지도록 우리가 노력해야만 우리 산업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최 사무총장은 "대한민국 대중음악산업의 근간은 기획사와 가수가 맺은 전속계약"이라며 "(기획사와 가수는) 고용인과 피고용인의 관계가 아닌 동업 관계"라고 이야기했다. 이어 "양자 간을 연결하는 전속계약은 한국 음악 산업의 근간이고 전부라고 과장되게 말할 수 있다"라며 "하지만 최근 산업 내에서 이런 전속계약의 매듭이 위협받고 있다"라고 목소리를 냈다.
그러면서 "심지어 가수에게 그 매듭을 풀어도 된다고 하는 부도덕한 타 소속사들, 심지어 가수가 기획사를 탈퇴하는 게 좋은 일이라고 말하는 팬덤 등으로 인해 음악산업의 산파 역할을 하는 기획사의 입지가 줄어들고 있다"라고 말했다.
최 사무총장은 또한 "기획사와 그 소속 임직원은 더 이상 갑의 위치가 아니다"라며 "과중한 관리책임과 규제를 떠안아야 하고 소속가수가 성공하면 계약 해지를 당할까 노심초사해야 하는 분위기가 퍼져나가고 있다"라고 얘기하기도 했다.
이에 최 사무총장은 "이제 시대에 부합하는 표준전속계약 개정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산업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는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