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이승환 이기범 홍유진 기자 = 이광우 대통령경호처 경호본부장이 경호처 직원들에게 "38구경 권총 20정과 공포탄 190발을 관저 상황실로 옮겨놓으라"고 지시했다는 진술을 경찰이 확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본부장은 윤석열 대통령 2차 체포영장 집행에 대비해 이 같은 지시를 내린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 사실상 물리적 충돌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직원들에게 무력 대응을 주문한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이 본부장은 내전 우려마저 나왔던 '대통령 체포 저지' 핵심 인물인 만큼 그의 신병을 확보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20일 뉴스1 취재를 종합하면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단장 우종수 국수본부장)은 이 본부장의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와 관련해 경호처 관계자들의 진술 다수를 확보했다.
특수단은 "이 본부장이 38구경 권총 20정과 공포탄 190발을 관저 상황실로 옳겨놓으라"는 지시를 했다는 진술도 확보했다. 지시 시점은 윤 대통령의 1차 체포 영장이 집행된 지난 3일에서 며칠 지난 후였다.
38구경 20정과 공포탄 190발은 원래 지원본부에 보관돼 있다가 관저 상황실로 옮겨진 것으로 알려졌다.
경호처 직원들은 이를 '경찰의 윤 대통령 2차 체포 시도에 대비한 지시'로 해석했고, '물리적 충돌 가능성'까지 고려하라는 취지로 받아들였다.
이 본부장은 현재 윤 대통령과 관련된 혐의 일체를 부인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본부장은 김성훈 경호처 차장과 함께 윤 대통령 체포 저지를 주도한 인물로 꼽힌다. 그러나 혐의를 계속 부인하는 만큼 증거 인멸 등의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 본부장과 김성훈 차장, 김신 가족부장까지 '경호처 강경파 3인방' 모두 경찰에 출석하면서 휴대전화를 소지하지 않았다.
경찰 안팎에서는 이 본부장 구속 수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지만 특수단은 체포됐던 그를 지난 19일 석방했다. 검찰이 앞서 김 차장의 구속영장을 반려한 것을 고려한 조처였다. 이 본부장 구속영장을 신청해도 검찰이 김 차장 때처럼 영장을 불청구할 것으로 본 것이다.
특수단은 지난 18일 김 차장의 구속영장을 신청했었다.
그러나 법조계에서는 "수사기관에 휴대전화를 제출하지 않은 데다 '명령 불복종'한 직원들에 대한 보복 가능성이 있는 김 차장의 영장을 검찰이 반려하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수단은 이들이 증거를 인멸할 우려가 크다고 보고 조만간 구속영장 재신청 여부를 결정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