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 5300명, 실종 1만명.. 리비아 대홍수 피해 키운 주범은

입력 2023.09.13 13:44수정 2023.09.13 15:28
지구온난화 등 영향으로 수온 높아져
사망 5300명, 실종 1만명.. 리비아 대홍수 피해 키운 주범은
홍수 발생한 리비아 북동부 항구도시 (데르나[리비아] AP=연합뉴스) 북아프리카 리비아에서 대홍수가 발생한 가운데 12일(현지시간) 동북부 항구도시 데르나가 침수돼있다. 리비아 동부 지역 정부는 이날 동북부 항구도시 데르나에서만 사망자가 5천300명 이상 나왔다고 밝혔다. 2023.09.13 danh2023@yna.co.kr (끝)

[파이낸셜뉴스] 지중해 연안 아프리카 국가 리비아에서 발생한 대홍수로 5300명 이상이 숨지고 1만명 이상이 실종된 것으로 파악된 가운데, ‘기후 변화’와 ‘정치 혼란’이 피해를 더 크게 만든 주범으로 꼽혔다.

12일(현지시간) 리비아 당국은 동북부 항구도시 데르나에서만 최소 5300명이 숨지고 1만명 이상의 실종자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국제적십자사연맹에서는 피해가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나왔다. 연맹의 타메르 라마단은 “최소 1만 명이 여전히 실종 상태”라며 “피해 규모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지중해에서는 한해 두세차례씩 ‘메디케인’(medicane)으로 불리는 열대성 저기압이 발생하지만 이처럼 대규모 인명피해가 동반된 건 이례적이다.

AFP통신과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이처럼 참사를 키운 배경에 ‘기후 변화’가 있다는 분석을 제기했다.

열대성 저기압은 해수면의 온도가 높을수록 더 큰 위력을 갖는데, 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수온이 과거보다 훨씬 높아졌다는 이유에서다. 바다는 산업화 이후 인간 활동으로 과잉 배출된 열의 90%가량을 흡수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정부의 기후변화 관련 회의에 참석한 과학자들은 지중해 동부와 대서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소보다 섭씨 2∼3도나 높아지면서 “강수량이 더욱 커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또 전문가들은 리비아의 피해가 유독 컸던 배경에는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이란 ‘인재’(人災)가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리비아는 지난 2011년 ‘아랍의 봄’ 혁명 여파로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이 무너진 뒤 동부를 장악한 리비아 국민군(LNA)과 서부의 통합정부가 대립하는 무정부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그런 까닭에 노후한 기반시설이 제대로 관리·보수되지 못했고, 재난 예측과 경보, 대피 체계도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다는 지적했다.

실제로 최대 피해 지역인 데르나에선 시 외곽 댐 두 곳이 연달아 무너지면서 대홍수가 발생, 주민 수천명이 흙탕물에 휘말린 채 바다로 떠내려가는 참사가 벌어졌다.

영국 오픈대학의 케빈 콜린스 박사는 “폭풍만이 인명 피해의 유일한 원인이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데르나의 비극은 리비아의 예보·경보·대피 체계가 제 역할을 못한 결과인 측면이 크다고 강조했다.

sanghoon3197@fnnews.com 박상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