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주먹을 쥐었다 폈다 잘 못한다면 '목중풍'을 의심해 봐야 한다. 이 질환은 목에 위치하고 있는 척수(중추) 신경이 눌려 전신삼각과 운동 신경, 반사의 이상이 나타난다. 바로 '경추척수증'이다. 뇌졸중이나 뇌출혈로 인해 발생하는 중풍과 증상이 상당히 유사해 '목중풍'이라고도 불린다.
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강경중 교수는 30일 "경추척수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손과 발의 이상으로 젓가락질, 글씨쓰기, 단추채우기 등에 어려움을 느끼거나 보행 시 균형을 잡기 힘들어 자주 비틀거리거나 넘어지는 횟수가 잦다면 반드시 의심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목중풍, 단순 목디스크와 혼동
경추척수증의 발병 원인에는 경추 추간판 탈출증, 일명 목디스크가 있으며 이외에도 인대가 뼈로 바뀌는 후종인대골화증, 퇴행으로 인한 뼈가 자라는 골극, 드물게는 척수의 종양 등이 있다.
증상은 단계별로 다양하다보니 다른 신경질환과 구별이 어렵다. 발병초기에는 팔저림, 목·어깨 통증 등이 나타나 단순 목디스크로 오인하기 쉽다. 진행 단계에서는 팔의 감각과 운동 기능 저하, 마비감 등으로 중풍으로 오해할 수 있다. 손, 발의 마비감 등으로 뇌질환이 의심돼 신경과나 신경외과 등을 찾는 경우도 많다. 특히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강 교수는 "경추척수증은 신경이 압박되는 목 아랫 부분에서만 증상이 나타나지만, 뇌와 연관된 신경질환, 예를 들면 뇌경색, 파킨슨병, 루게릭병 등은 목 윗부분의 뇌신경 증상이 동반되어 나타난다는 차이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약물치료나 주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만으로는 경추 척수신경의 압박이 해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상생활에 지장이 조금이라도 있다고 판단되면, 가능한 빠른 조기 수술이 최선의 치료방법이다.
정확한 진단이 중요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에 방문해 필요한 검사를 진행하고 정확하게 진단받는 것도 중요하다. 경추척수증의 진단은 자기공명영상(MRI) 등의 정밀 검사와 전문의의 면밀한 진찰을 통해 내려진다.
또 경추척수증(목중풍)을 자가 진단할 수 있는 첫 번째 방법은 발잇기 일자 보행으로 앞꿈치와 뒤꿈치를 이어 붙이면서 일직선으로 걸어보는 것이다. 보통 열 걸음을 정상적으로 걷지 못하면 보행장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주먹을 최대한 빠른 속도로 쥐었다 폈다를 반복해보는 것이다. 양손을 10초에 20회 이상 시행할 수 없고 점점 손가락을 펴는 속도가 느려지거나 아예 펴지 못하고 손가락이 벌어진다면, 경추척수증(목중풍)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강 교수는 "전신의 저림 증상이나 감각 이상 등의 증상, 갑작스러운 대소변 기능의 이상이 나타난다면 더욱 심각한 상태이므로 빠른 진료를 권한다"고 조언했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