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음상준 기자 = 잠을 자면서 수시로 숨을 쉬지 않는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의 뇌 기능이 떨어지는 현상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연구팀은 뇌 영상검사를 통해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의 대뇌백질이 손상되고 뇌세포를 연결하는 일부분이 끊어진 것을 발견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윤창호 교수는 수면무호흡증 환자 135명과 증상이 없는 건강한 대조군 165명을 대상으로 자기공명영상(MRI) 자료를 비교해 이같이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 내용을 보면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은 대뇌백질이 손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백질은 신경세포에서 축삭이 지나가는 곳이다. 축삭은 대뇌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백질이 손상되면 뇌 한쪽 부분에서 다른 쪽까지 정보 전달이 어려워진다.
연구팀은 수면무호흡증 환자들 뇌 영상에서 뇌세포를 잇는 구조적 연결성(네트워크)에 변화가 일어난 것도 확인했다. 이런 증상은 뇌가 정보를 교환하거나 통합·분리하는 데 장대를 일으킬 수 있다.
수면무호흡증은 성인인구 4~8%가 앓고 있는 흔한 질환이다. 오랫동안 이 질환을 앓으면 신체 내 산소 공급이 중단되는 저산소증이 나타난다. 또 뇌가 수시로 깨는 수면분절을 초래해 주간졸음, 과수면증, 집중력 감소 등이 발생한다. 고혈압과 당뇨병, 부정맥, 심근허혈, 뇌졸중 등 합병증이 생길 위험도 높아진다.
대표적인 치료법은 양압기 착용이를 사용하는 것이다. 양압기는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기도에 불어넣어 호흡을 원활하게 해주는 장치다.
윤창호 교수는"수면무호흡증 환자 뇌는 잠을 자는 중간중간 깨고 스트레스를 받는다"며 "뇌의 정보처리 능력을 떨어트리는 만큼 조기에 치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수면연구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 '슬립'(SLEEP)에 실렸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