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조류인플루엔자 유행으로 인해 달걀값이 폭등한 미국에서 농무부장관이 내놓은 해법이 빈축을 사고 있다.
최근 미국은 평균 4.95달러 수준이던 12개 들이 달걀값이 10달러를 넘어선 지역도 있다. 조류인플루엔자 유행으로 수백만 마리의 닭이 살처분되자 그 영향으로 달걀값이 가파르게 치솟은 것이다.
미 농무부가 올 한 해 동안 달걀값이 41.1% 오를 것으로 예상한 가운데, 브룩 롤린스 미국 농무부 장관은 2일(현지시간) 폭스앤드프렌즈 주말 인터뷰에서 달걀값 폭등과 관련한 질문을 받았다. 문제가 된 대답은 바로 이 자리에서 나왔다.
그는 "어쩌면 뒷마당에서 닭을 키우면 될 수 있다"며 이를 놀라운(awesome) 해법이라고 말했다.
롤린스 장관은 자신의 주변 사람들도 닭을 키우는 방법을 고려 중이며, 자신 또한 뒷마당에서 닭을 기르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롤린스는 지난주 월스트리트저널(WSJ) 기고문에서도 집에서 닭을 키우는 방안을 제안한 바 있다.
하지만 미국인들이 전부 뒷마당을 보유한 건 아닐 뿐만 아니라, 달걀을 사는 것보다 닭을 기르는 게 돈이 더 많이 들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가축 전문가인 데이나 주크는 USA투데이 인터뷰에서 "달걀을 사 먹는 것보다 이익을 내려면 뒷마당에서 닭 8마리를 길러야 한다"라고 꼬집었다.
누리꾼들도 롤린스 장관의 발언을 비판하고 나섰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만약 12개들이 달걀을 20달러 주고 사는 게 너무 비싸다고 느껴진다면, 600달러를 주고 닭장을 사서 뒷마당에 놓고 매달 50달러의 유지비를 지출하는 것도 좋겠다"라고 비꼬았다.
애런 아폴로 캠프라는 누리꾼은 "모두가 닭을 기를 여유가 있는 게 아니다.
대니얼 로리슨이라는 사용자는 "뒷마당 정도 규모로 닭을 키우는 건 상점에서 달걀을 사는 것보다 저렴하지 않다"라며 "닭은 닭장과 사료, 매일매일의 관심이 필요한 동물이며 훌륭하지만 싸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뒷마당에서 닭을 키우고 있다고 소개한 데이비드 밸트러스는 "닭들이 서로 싸우지 않거나 원인도 모른 채 갑자기 죽지나 않으면 다행"이라며 "뒷마당 닭들은 정말 까닭 없이 죽는 경우가 있다"라고 말했다.
bng@fnnews.com 김희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