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 쿠르스크 전선에서 북한군을 생포한 당시 상황과 이후 생활상을 전했다.
21일(현지시간)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우크라이나군 제95공수여단 공수부대원들이 텔레그램 채널에 올린 영상을 인용해 부상을 입은 채 쓰러진 북한군을 생포하게 된 과정에 대해 보도했다.
호출부호 '그랜드파더'라는 공수부대원은 처음엔 우크라이나군 병사라고 생각했지만 외모가 달랐다고 했다.
그는 "가까이 가보니 눈이 작고, 군복과 방어 장비가 우리 것이 아니었다"면서 "그를 향해 러시아어, 영어, 우크라이나어로 말을 걸었지만 대답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당시 북한군 병사는 부상을 입은 채 쓰러져 있었는데, 수류탄·칼 등 무기를 소지하고 있었으며, 식량으로는 소시지를 지니고 있었다고 한다. 그는 공수부대원들이 북한군 병사를 차량이 있는 곳으로 데려갈 땐 강하게 저항하기도 했다고 한다.
생포된 북한군은 우크라이나군으로부터 의료지원과 음식을 받았으며, 사랑 이야기가 담긴 영화를 틀어달라고 요청했다고 한다.
제95공수여단은 이 북한군 병사의 신원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블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이전에 공개한 생포된 북한군 병사 2명 중 1명인 26세 저격병으로 보인다고 RFA는 추정했다.
RFA는 우크라이나 특수작전부대는 북한군의 신원을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