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290만원' 43세 공무원 "노후준비 어떡하죠?"

입력 2024.12.15 05:00수정 2024.12.15 10:20
'월 290만원' 43세 공무원 "노후준비 어떡하죠?"
뉴스1.
43세 A씨 수입, 지출 및 자산 현황
(원)
구분 내용
월 수입(290만)
연간 비정기 수입(800만)
월 지출(284만) 고정비(9만) 실비 3만, 암보험 6만
변동비(181만) 용돈 30만, 부모님 용돈 30만, 유류비 15만, 통신비 9만, 식비 및 생활비 50만, 관리비 20만, 회비 등 기타 27만
저축(94만) 적금 90만, 청약 4만
연간비용(800만)
자산(2억1200만) 입출금 200만, 청약저축 100만, 연금저축 1200만, 공제회 적금 1500만, 주택 1억8000만
(금융감독원)
[파이낸셜뉴스] 10년차 공무원 A씨는 직장생활 내내 꾸준히 월급을 모아왔다. 그 덕에 여기에 대출 받은 돈을 보태 몇 년 전 집을 마련했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대출 상환이 우선이라고 생각해 빚도 착실히 갚아온 덕에 최근 모두 끝냈다. 아직 40대지만 이제 노후 준비에 들어가려고 한다. 소득 절반을 저축하려는 목표를 세웠다. 단순히 예·적금만으론 역부족이란 걸 잘 알아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개인형퇴직연금(IRP), 연금저축 등을 이용하려고 하는데 투자 경험은 없다. 대출 상환이 완료됐다는 생각에 지출이 좀 늘어 걱정이기도 하다. 환급받던 연말정산 때 앞으론 뱉어내야 할 것 같다. 다만 결혼은 계획하지 않고 있다.

43세 A씨 월 수입은 290만원이다. 연간 비정기 수입은 800만원이다. 월 지출은 284만원이다. 고정비는 실비(3만원), 암 보험(6만원)을 합쳐 9만원이다. 변동비는 181만원이다. 용돈(30만원), 부모님 용돈(30만원), 유류비(15만원), 통신비(9만원), 식비·생활비(50만원), 관리비(20만원), 회비 등 기타(27만원) 등이다. 연간비용은 800만원으로 비정기 수입을 그대로 상쇄한다. 저축은 적금(90만원)과 청약(4만원) 등 94만원씩 하고 있다.

자산은 입출금통장(200만원), 청약저축(100만원), 적금(200만원), 연금저축(1200만원), 공제회 적금(1500만원)과 주택(1억8000만원) 등 2억1200만원이다. 부채는 따로 없다.

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재무 관리의 목적은 저축을 최대화해 목표 지점에 닿는 일이다. 주택 구입, 결혼자금 마련, 노후 준비 등이 있겠다. 이때 수입을 늘릴 수 없다면 지출을 줄이는 수밖에 없다. 물론 투자를 통해 자산을 불리는 전략도 있겠으나, 일단 소비를 축소하는 게 비교적 쉬운 접근법이다.

그러려면 자신이 소득 중 얼마를, 어디에 지출하고 매월 어느 정도는 남기는지 파악 및 정리가 돼있어야 한다. 이후 목표와 목적을 분명히 한다면 소위 ‘새는 돈’을 틀어막을 수 있다. 비정기 지출, 변동비를 정리해보고 아낄 수 있는 금액도 구체적으로 파악해본다.

이때 선택과 집중, 비중 조절이 필요하다. 목표를 빨리 달성하기 위해 꼭 필요한 지출 예산을 깎거나 단기 투자를 통한 수익을 추구해선 안 된다는 뜻이다. 과도한 저축도 합리적 방안이 아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단 단기 목표를 위해 자산 관리를 하더라도 중기, 장기에도 어느 정도 무게를 둬야 한다”며 “이후에도 상황에 맞춰 각 기간별로 비중 조절을 해야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후를 준비한다면 사적연금도 필요하다. 투자 성향을 고려해야 하겠으나, 10~30년을 염두에 두고 하는 작업인 만큼 투입 자산 비중 조절에 신경 써야 한다. 절세법도 꼭 알아둬야 한다. 연금저축과 IRP를 통칭하는 연금계좌 세액공제율은 소득에 따라 차이가 난다. 가입자 연간 총급여가 5500만원(종합소득은 4500만원) 이하이면 16.5%, 이상이면 13.2%이다.

퇴직금을 IRP로 받을 시 혜택도 있다. 세금을 떼지 않고 전액 입금할 수 있어 퇴직소득세가 이연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금융투자 상품을 운용할 때도 수익에 따른 이자배당소득세(15.4%)가 상대적으로 저율인 연금소득세(5.5~3.3%)로 전환돼 과세이연 된다.

A씨가 부양가족이 없고 공무원 연금도 준비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대출 상환에 소득을 쏟아 부어 현재 유동성이 부족하고 연금도 퇴직 3년 후부터 나온다는 점은 제약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공제회 적금을 유지하고 연금계좌를 만들어 절세를 활용해 노후 대비를 해가야 한다”며 “은퇴까지 10년 이상 남았으므로 투자에도 일부 자산을 배정해 전체 수익률을 제고해도 되겠다”고 조언했다.

금융감독원이 운영하는 금융소비자포털 '파인'을 인터넷 검색창에 입력하거나 금감원콜센터 1332(▶7번 금융자문서비스)로 전화하시면 무료 맞춤형 금융소비자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