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권영미 기자 =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산모 10명 중 8명이 이용하는 한국의 독특한 문화인 산후조리원을 조명했다. 몇 곳의 고급 조리원은 임신이 확인되자마자 예약을 걸어야 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고 전했고, 한국 여성들이 출산을 원하지 않는 이유가 2주 동안만의 극진한 보살핌 후에는 평생 고단한 육아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라고도 설명했다.
28일(현지시간) NYT는 '서울 초보맘들을 위한 조리원에서의 3주간의 휴식과 수면'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을 가지고 있지만 아마도 최고의 산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라며 한국의 조리원 문화를 소개했다.
머무는 기간에 따라 수천에서 수만달러까지 비용이 들지만 조리원에서는 신선한 식사가 하루에 세 번 배달되며 얼굴 관리, 마사지 및 보육 수업도 제공된다. 간호사들이 24시간 아기를 돌보아서 엄마들은 편히 쉴 수가 있다. 한 조리원은 발리에서 영감을 받은 휴양지처럼 산모에게 탁월한 보살핌을 제공한다. 예전 풍속에 따라 몸이 치유되는 기간으로 알려진 21일 머무는 것이 권장되지만 손도 찬물에 담그지 않는 식의 예전식의 일부 산후조리 방식은 방마다 설치된 에어컨에서 보듯 버렸다.
NYT는 "이제 한국 산모 10명 중 8명은 출산 후 조리원에 가고, 고급 산후조리원들이 한국 여성들 사이에서 출산 회복의 가장 좋은 곳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면서 "(그래서) 임산부들은 자신이 선택한 조리원에 들어가고 싶어 아우성이고, 경쟁이 치열해 임신 테스트기에서 이중선을 보자마자 예약 요청을 보내는 엄마들도 있다"고 전했다.
임신 7주차에 두대의 전화기를 이용해 치열하게 고급 산후조리원을 예약한 한 여성은 또 조리원을 이용하는 데는 엄마와 아기 모두 친구를 사귀려는 목적도 있다고 했다. 그는 "사람들은 조리원에서 좋은 친구를 사귀려고 노력한다"면서 "이런 문화는 아이의 일생동안 계속된다. 자기 자녀가 같은 사회 계층의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원한다"고 설명했다.
NYT에 따르면 조리원에서의 2주 비용은 6000달러(약 800만원)가 넘는다. 하지만 "그 비용은 한국에서 아이를 키우는 데 드는 전체 비용에서 아주 작은 부분에 불과하며, 이는 한국의 출산율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NYT는 썼다.
전화기 두대로 예약했다는, 3월 출산을 앞둔 여성은 “사람들이 출산을 원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이곳의 모든 산후조리 서비스가 단 몇주 동안만 제공되고 그다음에는 영원히 지속되는 듯한 (육아의) 삶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