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4500년 전부터 '키스'로 애정 표한 인류…전염병 원인일까?

2023.05.19 16:31  
기사내용 요약
덴마크·英 연구진 분석…기원전 2500년 메소포타미아 문명 기록
입과 입 맞추는 키스, 구강 통해 헤르페스 등 질병 전파 가능성
고대 인류 유해에서도 바이러스 게놈 검출…키스→질병 영향 있을 듯

기원전 1800년경에 제작된 메소포타미아의 점토판. 한 커플이 키스하고 있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 (사진=대영박물관)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인류가 애정 표현을 위해 입을 맞추는 '키스'를 하게 된 것은 적어도 4500년 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당초 추정됐던 3500년 전보다 시기가 1000년 가량 앞당겨졌다. 학계에서는 이같은 고대 사회에서의 키스가 전염병의 전파에도 영향을 미쳤을지 주목하고 있다.

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의 트로엘스 아르볼 교수와 영국 옥스포드대학교 소피 라스무센 박사 연구팀은 기원전 2500년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키스가 이미 애정 표현 문화로 자리잡았다는 내용의 연구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와 관련된 논문은 19일 국제 과학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지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기원전 2500년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점토판에 새겨진 기록과 그림 등을 근거로 삼았다. 주로 기원전 3200년~75년 사용된 수메르어와 아카드어의 기록을 살펴보면 수메르어의 초기 문헌은 키스를 에로틱한 행위의 일종으로 묘사했다. 아카드어 문헌은 키스를 2가지 종류로 구분했다. 하나는 가족 혹은 우호 대상에 대한 애정 표현의 방법이었고, 나머지 하나는 수메르어와 같이 서로 입을 맞추는 에로틱한 행동이라는 기록이었다.

가족, 부모 등에 대한 우호와 애정을 표현하는 차원의 키스는 전 세계 다양한 문화권에서 나타났으나, 현대인이 생각하는 애정 표현이나 성적 의미의 키스는 비교적 보편적이지 않았다. 문화적으로 '계층화'가 일어난 고대 사회에서 한정적으로 나타나는 수준이었다.

연구팀이 분석한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기록에는 미혼 남녀의 애정 표현으로서의 키스와 성관계는 물론, 심지어 기혼 여성이 낯선 남성의 키스로 인해 간통을 저지를 뻔했다는 노골적인 내용까지 담겨있었다.

연구팀은 이같은 성적인 차원의 키스는 침·호흡 등을 통해 전달되는 화학적 단서를 통해 잠재적인 짝·반려와 자신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부부 등으로 맺어진 관계에서 서로의 애착 감정을 중재하기 위해 문화적으로 진화하게 된 것으로 분석했다.

이같은 문화적 측면을 넘어서 키스라는 행위가 불가피하게 구강을 통한 전염병 매개체 역할을 했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 최근 고대 DNA 추출 기술이 발전하면서 고대 인류의 유해에서 헤르페스의 일종인 HSV-1 바이러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와 파르보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 게놈(유전 계보)이 검출됐다. 이는 타액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로 전염되는 바이러스들이다.

고대 의학 문헌에는 이른바 '부샤누'라고 명명된 질병들이 기록돼있는데, 해당 질병의 증상은 주로 구강 주변에 포진 등이 발생하는 것이다. 고대 인류의 유해에서 발견된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증상이 이와 유사한 만큼 부샤누라는 병이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의 일종일 가능성도 있다.

학계는 고대인의 유해에서 전염성이 있는 바이러스 게놈들이 발견된 만큼 전염병을 야기하는 유기체들이 고대 시대, 더 나아가 선사 시대에도 존재했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서기 253~1700년 사이의 인류와 청동기 시대 인류에서 발견된 HSV-1 게놈을 살펴보면 바이러스의 유전 계통에 변화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같은 변화가 성적인 키스와 같은 새로운 문화적 관습이 도입된 영향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다양한 문화권마다 키스에 대한 수많은 독립적 기원이 있는 것을 추정되지만, 어떤 형태이든 키스라는 행위 자체가 전염병 확산의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공감언론 뉴시스 hsyhs@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