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무(無)챌린지' 하는 MZ세대의 한숨 "라면으로 때워봤자..."

2022.09.14 07:00  
외식물가가 8%까지 치솟으며 3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6일 서울시내 한 편의점에서 한 시민이 도시락을 구매해 이동하고 있다. 2022.7.6/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외식물가가 8%까지 치솟으며 3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6일 서울시내 한 편의점에서 시민들이 라면과 삼각김밥 등을 구매해 칸막이가 설치된 테이블에 앉아 있다. 2022.7.6/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서울=뉴스1) 김규빈 김성식 기자 = # "방학 때는 부모님과 함께 지내서 그럭저럭 버틸 만했어요. 개강하고 나서는 학교에서 밥을 해결하고, 밥을 못 먹는 날에는 라면으로 끼니를 때웁니다. 서울 올라오고 나서는 돈 한 푼 안써도 매일이 마이너스예요. 월세, 관리비, 대출이자는 지금 이 순간도 오르고 있거든요. (20대 대학생 서모씨)

고물가 시대를 맞아 하루에 한 푼도 쓰지 않는 '무(無)지출 챌린지'에 동참하는 MZ세대(1980~2000년대생)가 늘고있다. 무지출 챌린지란 돈을 한 푼도 쓰지 않고 하루를 버티는 등 소비를 극단적으로 줄이는 것을 뜻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상에는 하루의 지출과 수입을 빼곡히 기록한 가계부와 한 달에 며칠 동안 '무지출'에 성공했는지를 표시해둔 달력 사진들이 넘쳐난다.

그러나 무지출 챌린지에 도전해 본 자취생들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고 입을 모았다. 주거비, 관리비, 대출이자 등을 줄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만약 식비를 전혀 쓰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일주일을 넘길 수 없었다고 입을 모았다. 부실한 식단으로 건강이 상하고, 사회생활에도 지장이 생겼다고 호소했다.

제주도에서 상경한 직장인 임모씨(24·여)도 '하루 5000원 챌린지'를 하다가 건강상의 이유로 중단했다고 털어놨다. 임씨는 편의점 김밥 혹은 컵라면으로 끼니를 때우며 아르바이트를 하던 중 몸이 붓고 살이 쪘고, 결국 포기했다고 전했다.

임씨는 "우리가 생각하는 양질의 식사를 하려면 결국에는 비싸진다"며 "전에 찜닭이 먹고 싶어서 직접 찜닭을 해서 먹으니 시간이 2시간 넘게 걸리고, 밖에서 사먹는 것에 비해서 비용도 2배 넘게 들었다. 요리도 자취생이 혼자 해서 여러번 먹는 것보다 여럿이 여러번 나눠 먹는 것이 더 저렴한 것 같다"고 말했다.

직장인 강모씨(31·여)도 며칠 전 무지출 챌린지를 중단했다고 밝혔다. 혼자만 도시락을 싸와 사무실에서 밥을 먹는 생활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였다. 강씨는 "커피와 밥은 식사인 동시에 사회생활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동료들이 점심식사 중 나눈 업무얘기를 회의시간에 이야기해서 못 알아들은 적이 여러번 있었다. 그 이후로 무지출 챌린지를 안하게 됐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이어 "부모님과 함께 살면 세탁소 비용, 아파트 관리비, 인터넷비 등 여러 방면으로 절약할 수 있는 것이 많은데, 자취하는 입장에서는 절약할 것이 사실상 식비밖에 없었다"며 "정말 일주일에 돈 한 푼 쓰지 않으려면 부모님 집에 얹혀사는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대구에서 상경한 직장인 한모씨(25)는 "지방에서 서울로 상경한 친구들은 월세로만 한 달에 최소 50만원 넘게 빠진다. 사회초년생이라 전세를 구할 수 있는 형편도 아니다"며 "각종 세금과 보험료까지 다 내면 월급이 들어오자마자 다 빠져나간다"고 허탈해 했다.

그는 "그래도 소비를 줄이려고 밥도 집에 남아 있는 것으로 해먹고 있다. 어머니가 보내주신 김치로 김치전, 김치찌개, 김치볶음밥 이런 식으로 연명하고 있다"면서도 "'서울 집수저'를 물고 태어나지 않는 한 무지출 챌린지는 불가능한 것 같다"며 씁쓸한 표정을 지었다.

이처럼 '무지출 챌린지'가 유행처럼 번지는 이유로 전문가들은 '고물가'를 꼽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7%로,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8월 5.6%를 뛰어넘었다. '영끌'로 투자한 암호화폐, 주식, 부동산 가치 하락도 다소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성태윤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2030세대들이 노동시장에 진입을 하지 못하고, 직장인들 또한 물가상승 때문에 실질적인 구매력이 낮아진 점 등이 '무지출 챌린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경직성을 줄이고, 물가 상승을 제어함으로써 추가적인 상황 악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