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나이프' 박은빈 "처음 해본 역할, 연기 갈증 해소" [N인터뷰]①](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4/15/202504151330409773_l.jpg)
!['하이퍼나이프' 박은빈 "처음 해본 역할, 연기 갈증 해소" [N인터뷰]①](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4/15/202504151330420780_l.jpg)
(서울=뉴스1) 안태현 기자 = 디즈니+(플러스) 오리지널 시리즈 '하이퍼나이프'(극본 김선희/ 연출 김정현)가 지난 9일 8회 전편 공개를 마쳤다. '하이퍼나이프'는 과거 촉망받는 천재 의사였던 세옥(박은빈 분)이 자신을 나락으로 떨어뜨린 스승 덕희(설경구 분)와 재회하며 펼치는 치열한 대립을 그린 메디컬 스릴러다.
박은빈은 극 중 불법수술장 신경외과 전문의이자 바른약국 약사 정세옥 역을 연기했다. 17세의 나이에 의대 수석 입학할 정도의 천재이지만, 스승인 최덕희 교수에 의해 의사 면허를 박탈당한 인물이다. 또한 인간의 뇌에 미쳐있는 천재이자, 사람을 살리는 의사이면서도 사람을 죽이기도 하는 살인마이기도 한 입체적 캐릭터다.
박은빈은 수술 하나에 죽고 못 사는 정세옥의 사이코패스적인 면모를 자기만의 색깔로 그려내면서, 악역으로의 이미지 변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런 가운데, 박은빈은 15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취재진을 만나 '하이퍼나이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하이프나이프'를 통해 그간의 이미지와 180도 달라진 연기를 펼친 박은빈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공개를 마친 소감을 밝힌다면.
▶이렇게 작품과 캐릭터의 얘기를 나누는 자리가 저는 여정의 마무리라는 생각을 늘 한다. 제가 세옥으로서 살아오는 동안 참 치열한 순간들이 많았다. 그런 치열한 순간들을 오늘로써 시청자의 품으로 완전히 넘겨드릴 수 있을 것 같아 후련한 마음이 크다. 또 '하이퍼나이프'는 공개된 이후의 반응이 잘 가늠이 안 되는 작품이기도 했는데 잘 봐주셨다는 분들이 많아서 기쁜 마음이다.
-꽤 온도 차이가 큰 인물이기도 했는데, 어떻게 해석을 하려고 했나.
▶아무래도 제가 맡아보지 않았던 결의 역할이기도 했고 이 캐릭터 자체가 성격적으로 참 변화무쌍한 지점이 많았다. 이렇게 극심한 온도 차이를 오고 가는 것에 있어서 어떤 부분에서는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변화무쌍한 부분에서는 '저런 사람도 있을 수 있지'라고 설득해야 하는 게 배우로서의 의무라고 생각했다.
-사이코패스 설정을 가진 캐릭터인데 감정의 낙폭이 크다는 점이 다수 대중이 알고 있는 사이코패스와는 달랐던 점이기도 한데.
▶일단 제가 이 캐릭터를 사이코패스, 소시오패스로 구분 짓는 게 유의미한 작업이 아닌 것 같더라. 그래서 그 둘이 아닌 반사회적 인격장애를 참고해서 캐릭터를 만들어갔다. 대체로 사이코패스의 특성으로 미디어에 소개된 게 공감능력이 없다는 거더라. 그런 특성으로 보면 공감능력이 없는데 세옥은 감정적이어서 '사이코패스 아닌 거 아니야?'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도 일종의 편견일 수도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공감능력이 떨어지는 것과 무감정은 또 다르다. 한 인물을 만들어가는 데에 있어 반사회적 인격장애를 참고해서 다층적으로 만들어가고 싶었다. 제가 만나보지 못한 사람을 만드는 데에 있어서 소개되어 있는 진단 체계들을 저만의 방식으로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이때까지 맡았던 역할과 비교하면 새로운 역할이었는데, 이를 어떻게 만들어가려 했나.
▶캐릭터를 만나면 작품을 읽을 때 어떤 이미지가 떠오를 때가 있다. '어떤 모습으로 시도하면 좋을까?' 떠오를 때도 있다. 이번에도 그런 영감이 떠올라서 머리스타일도 날 것의 거친 느낌을 내려고 했다. 파마 한 번 하고 실제로 촬영할 때는 드라이를 안 하고 머리만 감고 자연스럽게 말리고 나왔다. 의상 같은 부분에서도 서은경 의상실장님과 대화를 많이 나눴다. 아무래도 세옥은 현재 시점의 붉은 계열을 입는 게 좋을 것 같다고 얘기하셨다. 반면에 덕희는 푸른 계열로 통일해 주셨다. 또 과거에서는 녹색 계열을 입는 게 좋을 것 같았다. 그때 당시에는 좋은 새싹이 될 수 있었다는 단초로서 녹색계열을 입고 싶다고 얘기를 나눴다. 에필로그에서는 의사를 제외하고 사복으로서는 푸른 계열을 입으려 했다. 시간이 지나고서는 덕희와 비슷한 계열로 가고자 했다.
-생소한 의학용어가 연기하는 데에 힘들지는 않았나.
▶생각보다는 의학용어가 많지 않은 작품이었다. 디즈니+를 통해 드라마를 봤을 때도 의학용어에 해설 자막이 안 달리더라. 이 드라마가 메디컬 스릴러로 소개되기는 했지만 메디컬 드라마라고 보기에는 그 메디컬 장르의 좋은 의사를 소개하는 드라마는 아니었다. 의학용어를 얘기하는 것도 두 개의 신밖에 없었다. 의학용어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의사 역할을 했지만 의사 역할로서 많은 것을 보여드리지 않았던 것 같다. 그래서 나중에 다른 결의 의사도 맡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라.
-'하이퍼나이프'를 통해 연기적인 갈증은 많이 해소됐나.
▶저는 이 작품을 선택한 이유는 '악역을 해보고 싶었다'라든지 '이미지를 탈피해 보고 싶었다'라는 게 전혀 없었다.
<【N인터뷰】 ②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