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사교육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이 아이의 향후 학업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 초1때 언어·문제해결력과 연관관계 없어
15일 김은영 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교육부 직원을 대상으로 한 '영유아 사교육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실증 연구 결과를 공개한다.
이번 교육은 영유아기 사교육의 필요성과 영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공교육 강화를 위한 정책적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김 위원이 연구책임을 맡은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과 발달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영유아 사교육의 시작 연령은 점차 낮아지고 비용은 증가하고 있다.
영유아기 사교육이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이 단기적으로 혹은 초등학교 1학년 시기의 전반적인 언어능력, 문제해결력, 집행기능과는 긍정적인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예술 사교육에 참여한 아동은 예방책 능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장기적으로도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은 학업수행능력에 효과가 없거나 미미하며, 성실성, 자존감, 개방성, 타인 이해 등 정서·행동 특성과도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경험 많을수록 자존감에 부정적 영향
학습 사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많을수록 자존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자아 존중감이나 삶의 만족도와 관련해서도 유의미한 영향은 없었고, 오히려 일부 부정적 효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연구진은 "아동의 지능지수, 가구소득, 부모학력 등 다양한 변수를 통제했으나 사교육의 독립적 효과는 없거나 미미했다"며 "사교육 효과가 과대 평가됐을 가능성과 함께 아동 발달에 사교육 외 다른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진단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영유아기 사교육 참여율이 높아지는 추세지만 영유아기 사교육 참여는 단기적·중장기적으로 실질적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과도한 사교육은 놀이와 휴식 시간을 감소시켜 오히려 아동의 전인적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교육부는 영유아 발달에 적합한 양육·교육 방법 등에 관해 전문적이고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한 온라인 콘텐츠 제작·송출 등으로 영유아 사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해 나가기 위해 지속 노력해 나갈 방침이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