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악' 산불, 꺼지지 않을 재난의 서막?

입력 2025.04.13 16:35수정 2025.04.13 16:35
'역대 최악' 산불, 꺼지지 않을 재난의 서막?
[산청=뉴시스] 차용현 기자 =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4일째로 접어든 24일 오후 시천면 인근 야산에 산불이 번지고 있다. 2025.03.24. con@newsis.com
[서울=뉴시스]이재훈 기자 = 지난달 21일과 22일 경남 산청과 경북 의성 일대에서 산불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

불은 순식간에 안동과 청송 등지로 번졌다. 급기야 80㎞ 떨어진 동해안 어촌 마을까지 집어삼켰다. 열흘 만에 서울의 80%에 달하는 면적이 잿더미로 변했다. 사상자만 무려 83명. 3000명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고 피해액은 1조 원을 넘어섰다.

13일 오후 8시30분 방송하는 MBC TV 탐사기획 '스트레이트'에선 최근 역대 최악의 산불이 할퀴고 간 현장을 찾아가 본다.

집은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고, 살림은 모조리 불탔다. 불길을 피해 간신히 몸만 빠져나온 이재민들. 기약 없는 대피소 생활이 막막하기만 하다. 가족과 이웃을 잃은 이들의 눈에선 눈물이 마르지 않고 있다. 평생 일궈온 삶의 터전이 사라지는 걸 눈앞에서 목격한 주민들은 치유하기 어려운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다.

초속 27m로 불어닥친 태풍급 강풍, 기후변화로 고온건조해진 봄 날씨, 소나무 같은 침엽수 위주의 숲…. 이번 산불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게 된 요인들이다.

하지만 이게 다가 아니었다. 산불 예측 시스템은 제구실을 못 했고, 대피 경고는 늦었다. 피해자는 대부분 고령층이었고 산불 진화 인력도 나이가 들었다. 장비는 노후화하고 있다.

'스트레이트' 제작진은 산불 대응 체계의 구조적 문제점을 취재해 이날 공개한다.

제작진은 "3년 전 산불이 휩쓸고 지나간 경북 울진군. 불에 탄 산은 여전히 흉물스러운 모습이다.
산림 생태계가 완전히 복원되려면 무려 100년이 걸릴 거라고 한다"면서 "집을 잃은 주민들 중 일부는 아직도 임시 조립식 주택에서 살고 있다. 이번 영남 산불 피해자들도 비슷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이재민들의 속은 타들어 가고 있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realpaper7@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시간 클릭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