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진스 법률대리인 법무법인 세종은 7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어도어의 뉴진스 활동금지 가처분' 등에 대한 심문기일에서 "채권자(어도어) 관계자가 추모 리본을 달면 일본 시청자들 문의 전화 폭주로 방송국 업무가 마비돼 방송사고가 난다"며 착용을 만류했다고 주장했다.
제주항공 참사 다음날인 지난해 12월30일 뉴진스 멤버들이 일본에서 열린 '제66회 레코드 대상'에 추모 리본을 착용하고 공연하려고 했는데, 이를 제지하려고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멤버들이 일본 방송국 쪽에 문의한 뒤 "문제 없다"는 내용을 회신 받은 뒤 리본을 착용하고 나섰다는 게 뉴진스 측의 입장이다.
실제 당시 뉴진스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이들의 리본 착용 사진을 보면, 당일 같은 시상식에 참석했던 하이브 레이블의 다른 걸그룹 '르세라핌'과 '아일릿'이 착용한 리본과 다르다.
르세라핌, 아일릿은 일반적인 모양의 추모 리본을 달고 무대에 올랐는데 뉴진스 멤버들은 꽃 모양 리본을 패용했다.
뉴진스 측은 만약 뉴진스만 추모 리본을 달지 않았다면 "평판을 훼손당하고 지탄의 대상이 될 뻔했다"고 내세웠다.
하지만 하이브는 추모 리본 관련해 잘못된 사실이 확산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한국과 다른 일본의 방송 여건을 감안해, 방송사와의 사전 조율이 필요한 점을 각 레이블에 전달했다. 또한 방송국 측에는 추모 리본 패용 사유에 대한 자막, MC멘트 등을 사전 조율했다"고 부연했다.
이 과정에서 모든 아티스트들이 패용 의사를 밝혔고 뉴진스에게도 동일한 리본을 제공하려 했다는 것이다.
하이브는 "그러나 (뉴진스는) 본인들이 준비한 리본을 달겠다고 의사를 밝혀 이를 존중해 최종 결정됐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심문기일에서 채권자 측인 어도어는 뉴진스가 정당한 사유 없이 일방적으로 전속계약 해지를 통보해 기획사 지위가 유지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채무자인 뉴진스 측은 하이브의 차별·견제로부터 제대로 된 보호 조치를 취하지 않아 해지 사유가 존재한다고 반박했다.
뉴진스 멤버들은 지난해 11월 어도어에 계약 해지를 선언한 뒤 '엔제이지(NJZ)'라는 이름을 내걸고 독자 활동 중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realpaper7@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