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최근 휴대전화에 악성 애플리케이션을 깔아 '좀비폰'으로 만든 뒤 돈을 갈취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6일 JTBC 보도에 따르면 30대 금융업 종사자 A씨는 한 달 전 검찰 수사관이라는 사람에게서 전화 한 통을 받았다. 수사관이라 밝힌 남성은 A씨 통장이 시중 은행 불법 자금 세탁 용도로 쓰였다고 했다.
A씨도 초반엔 보이스피싱을 의심했지만, 자신 뿐 아니라 가족들의 신상을 줄줄이 읊으며 수사 대상이라고 하자 믿을 수밖에 없었다.
구속영장을 확인하라며 알려준 사이트에 이름과 주민번호를 넣자 검찰총장 직인이 찍힌 영장도 나왔다.
이들은 A씨에게 구속 수사 대신 모텔에서 조사를 진행하겠다며 사실상 A씨를 감금했다. 그리고 원격제어 앱부터 설치하도록 했다.
이때부터 A씨의 휴대전화에 '112'와 검찰콜센터 '1301' 번호로 전화가 걸려오기 시작했다.
보이스피싱 조직이 원격제어 앱으로 악성 앱을 설치, '좀비폰'으로 만든 뒤 특정 번호가 뜨도록 조작한 것이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해 보이스피싱 사기 피해 액수는 8545억원, 1년 만에 2배 가까이 급증했다. 경찰은 피해 사례가 늘어난 결정적 이유에 대해 '좀비폰' 수법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gaa1003@fnnews.com 안가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