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연구팀이 한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3년 연구결과 우울증이 없음에도 자살 생각이 있다고 보고한 사람의 비율이 16.2%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상원·조성준 교수·전혜정 전공의 연구팀은 2015~2019년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의 심케어 서비스(직장인 마음건강 증진 서비스)를 이용한 우리나라 근로자 1만4425명을 대상으로 우울증이 없는 근로자에서 자살 생각 발생 위험을 높이는 직무 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했다.
그 결과, 두드러진 우울증 증상이 없지만 자살 생각이 있는 근로자는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젊은 연령보다는 중장년 이상의 연령에서 많이 발생했다.
또 이 그룹의 근로자들은 심리회복 탄력성(스트레스 사건 이후 빠르게 회복하는 힘)이 낮았다. 주관적으로 느끼는 스트레스가 크고, 불안 증상이 두드러졌고, 수면시간이 일반인들보다 적었다. 직장 내 보상 부족은 우울증이 없어도 자살 생각을 유발하는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밝혀졌다.
직장인들의 '보상'이란 업무에 대하여 기대하고 있는 보상의 정도를 나타내며, ▲금전적 보상 수준 ▲직업에 대한 개인의 만족도 ▲직장 내에서 존중받음 ▲일에 열정을 보일 경우 받는 적절한 보상 등을 의미한다.
전 교수는 “직장 내 적절한 보상은 근로자들이 불안장애와 우울증에 걸리지 않게 하는 보호 요인으로 작용하며 적절한 보상이 없을 경우 근로자들의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정신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직장 내 보상 부족은 우울 증상이 없어도 자살 생각까지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보상이 갖는 의미는 매우 중요하다” 덧붙였다.
조 교수는 “직장인들의 정신 건강 평가는 대부분 우울증이 있는 사람을 주요 평가 대상으로 삼고 있어 우울증이 없는 자살 위험 그룹이 배제될 수 있다”며 “위험 그룹의 개념을 확장해 효과적인 예방 전략과 대상 지원 체계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전문 학술지 '사이키아트리 인베스티게이션(Psychiatry Investigation)'에 실렸다.
☞공감언론 뉴시스 positive100@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