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불청객.. 미세먼지와 황사의 차이

입력 2021.04.25 08:50수정 2021.05.04 13:29
오염물질은 '미세먼지' 흙먼지는 '황사'
봄철 불청객.. 미세먼지와 황사의 차이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봄이 되면서 전국의 기온이 크게 올랐다.

하지만 기온이 올랐다고 마냥 좋아할 수만은 없는 이유가 있다. 봄마다 찾아오는 불청객, 미세먼지와 황사 때문이다.

눈에 안 보이는 오염물질 '미세먼지'

미세먼지란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크기의 오염 물질이다.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지름 10㎛ 이하의 입자상 물질을 뜻한다.

지름 10㎛ 이하라면 미세먼지, 2.5㎛보다 작다면 초미세먼지다.

미세먼지는 주로 석탄이나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태울 때나 공장 또는 자동차 매연 등의 배출가스에서 발생한다.

미세먼지의 성분은 발생 지역이나 계절, 기상 조건에 따라 다르다.

보통 대기 오염 물질이 공기 중에서 반응해 만들어진 황산염 질산염 등의 덩어리와 화석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류와 검댕 등으로 구성된다.

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는 호흡기를 거쳐 폐에 침투하거나 혈액을 따라 전신으로 순환하며 우리 신체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2013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초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바 있다.



하늘 덮었던 흙먼지가 강하하는 '황사'

황사는 중국 북부 지방이나 몽골의 사막지대에서 강한 바람에 휩쓸려 올라간 미세한 흙먼지가 대기 중에 퍼져 하늘을 덮었다 서서히 강하하는 현상이다.

보통 저기압의 활동이 왕성한 3~5월에 많이 발생하는데, 강한 서풍을 타고 우리나라를 지나 일본, 태평양, 북아메리카까지 날아가기도 한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황사 입자는 1~10㎛ 정도로 대체로 미세먼지 크기에 해당한다.

황사가 나타나면 태양빛이 가려지고, 심할 경우 하늘이 황갈색으로 보이기도 한다. 흙먼지가 내려 쌓이는 경우도 있다.


자연적으로 발생한 흙먼지인 황사는 칼슘이나 규소 등 토양 성분으로 구성된다.

황사는 삼국유사나 삼국사기에 기록이 있을 정도로 오랫동안 존재했던 현상이다.

하지만 최근 황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황사가 중국을 거쳐 올 때 급속하게 산업화되고 있는 지역을 지나면서 황사 속에 포함돼 있는 중금속의 농도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sunset@fnnews.com 이혜진 기자 , 임예리 인턴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