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카운트' 감독 "'슬램덩크' 열광하던 세대…개봉 비슷해 반가워" ③

2023.02.22 08:02  
'카운트'' 권혁재 감독 / CJ ENM


'카운트' 권혁재 감독 / CJ ENM


(서울=뉴스1) 장아름 기자 = 재미와 감동을 다잡았다는 말이 꼭 어울리는 영화가 극장가를 찾아왔다. 22일 개봉하는 '카운트'(감독 권혁재)는 금메달리스트 출신, 한번 물면 절대 놓지 않는 마이웨이 선생 시헌(진선규 분)이 오합지졸 '핵아싸'(아웃사이더) 제자들을 만나 세상을 향해 유쾌한 한 방을 날리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영화 '엑시트'(942만명)와 '너의 결혼식'(282만명)의 제작진이 참여했다. '범죄도시' '극한직업' '공조2: 인터내셔날'까지 흥행 배우로 활약해온 배우 진선규의 첫 원톱 주연작이기도 하다.

'카운트'는 1988년 제24회 서울올림픽 라이트미들급 금메달리스트인 복싱선수 박시헌의 일화를 모티브로 한다. 당시 박시헌은 미국의 로이 존스 주니어를 판정승으로 이기며 금메달을 얻어냈으나, 편파 판정 논란이 불거지며 시상이 끝나자마자 은퇴를 했다. 이후 박시헌은 모교인 경남 진해중앙고 체육 교사로 부임해 복싱팀을 창단하고 제자들을 육성해왔다. IOC에서는 지난 1997년 최종적으로 정당한 판정이라는 입장을 밝혔으나, 박시헌은 일찍이 선수 생활을 접어야 했던 안타까운 금메달리스트로 기억에 남았다.

권혁재 감독은 편파 판정 논란으로 비운의 금메달리스트가 된 박시헌의 일화를 접하며 위안을 느껴 영화화를 결심했다고 했다. 이번 작품은 '아라한 장풍대작전' '짝패' 등 류승완 감독과 연출부를 해오다 연출을 맡았던 '해결사'(2010) 이후 오랜만에 선보이는 신작이다. 그는 영화를 위해 3~4년간 직접 복싱을 배우는 진정성을 보여주며 박시헌의 마음을 열었다. 포기하지 않는 주인공이 결국 희망을 보여주는 '카운트'는 영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지닌 권혁재 감독과 오랜 무명 끝에 스타가 된 진선규의 열정과도 많이 닮아있는 작품이다. '카운트'를 완성하기까지, 권 감독의 작업 과정을 함께 돌이켜봤다.

<【N인터뷰】②에 이어>

-복싱 경기 장면이 가장 흥미로웠다. 작업 과정은 어땠나.

▶복싱 영화라고 하면 '록키'와 같은 영화나 제 사부인 류승완 감독님의 '주먹이 운다'라는 좋은 작품도 있다. '카운트'의 제일 큰 차이점은 청소년 아마추어 복싱이라는 점이었다. 아마추어 복싱은 점수를 따는 경기인데, 실제로 타격을 하면서 상대를 잘못 치기도 하고 서로 끌어안기도 하고 그런 모습들이 있다. 청소년들이니까 그런 (아마추어 복싱의 모습에) 주안점을 뒀다. 초반에는 지역대회였다가 후반에는 전국체전까지 가니까 볼륨감을 영화 전체적으로 봤을 때 뒤로 갈수록 더 세게 디자인했다. 전국체전 1회전 때는 음악 없이 리얼 사운드로 가고 후반 박시헌이 오고 음악을 고조시켰다. 신음소리나 부러지는 잔인한 소리보다는 스피드와 쾌감을 주는 것에 방점을 찍으려 했다. 또 보통 선수가 주인공인데, '카운트'는 링 밑에 있는 코치가 주인공이니까 수신호를 주거나 상황을 쉽게 표현할 수 있는 연기가 돋보이도록 했다. 대역이 거의 없이 했다.

-아마추어 복싱에서의 부정 청탁이나, 편파 판정, 심판 매수와 관련한 이야기도 다뤘는데 이건 픽션인지. 실화 중에서 어떤 부분들을 영화에 어느 정도 담은 건지.

▶상대방이 있는 경기 중 유도가 됐든, 태권도가 됐든 기록을 내는 게 아닌 경쟁을 해야 하는 경기에서는 심판이 굉장히 중요하더라. 편파 판정과 같은 이슈는 기록 경기가 아닌 상대방과 하는 경기에서는 있을 수밖에 없는 이슈인데 어떤 공정한 룰에 대한 걸 담고 싶었다. 전국체전 경기를 보면 많은 항의가 나오고 판정 불복도 나오기도 하더라. 비단 복싱 뿐만 아니라 다른 종목에서도 흔한 일이어서 공감을 할 수 있지 않을까 했다. 경기 결과가 공정하지 않았을 때는 승자나 패자나 둘다 망가진다, 그래서 판정이 되게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게 영화에서 담고 싶었던 부분이다.

-영화 자체가 희망을 전하는 작품인데 톤 조절에 대한 고민도 컸을 것 같다.

▶너무 진지하면 힘들 것 같았다. 박시헌 선수가 방황한 이야기, 너무 힘들었던 순간을 그릴 수도 있었는데 그게 목적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가 제자들과 충돌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에서 메시지를 줄 수 있지 않을까 했다. 편파 판정으로 인한 사회고발 드라마처럼 간다고 했을 때 복싱의 묘미를 살리기 어려울 것이라 생각했고, 박시헌이라는 인물 자체가 전형적일 위험도 있었다. 그러다 보니 대중에게 편하게 갈 수 있게 하는 걸 생각했던 것 같다. 엄청난 코미디, 신파 이런 건 안 되지만 무거운 드라마로 방점을 찍어서는 안 된다 생각했다.

-스포츠가 소재인 '더 퍼스트 슬램덩크'도 인기를 끌고 있다.

▶제가 그 만화를 보고 열광하던 세대라, 만화를 봤던 그 때를 여전히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 '카운트'에서의 90년대 소품도 집에 있던 걸 갖고 와서 직접 배치하기도 했다. '슬램덩크'라는 만화는 그 당시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봤다.
이를 참고해서 캐릭터를 설명하기도 했다. 윤우 캐릭터는 서태웅 느낌, 환주는 강백호 느낌, 시헌은 정대만 느낌으로 설명했다. 재밌는 건 성유빈을 비롯한 젊은 배우들은 '슬램덩크'를 잘 모르고 '원피스'를 본 세대더라. 마침 비슷한 시기에 개봉해서 조심스럽긴 하지만 반갑고 타이밍이 묘하다고 느껴지기도 하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